반응형 프래랜서 1인 사장으로 살기5 국세청 부가가치세 신고 꼭 해야하는 걸까? (feat.1인사장) 부가가치세를 신고하라는 국세청의 메시지가 날아왔다. 막막했다. 도대체 어떻게 신청하라는 거지? 오늘은 나와 같은 간이과세자, 초보 사장, 1인 사장들을 위해 부가가치세 신고하는 방법에 대해서 작성해 보고자 한다. 흔히 물건을 떼다가 고객에게 불건을 판매할 때, 영수증에 vat라는 용어를 본 적 있을 것이다. 상품의 거래나 제공과정에서 얻어지는 이윤에 대해 과세하는 세금이라고 한다. 매출 세액에서 매입 세액을 차감하여 얻어진 금액을 부가가치세라고 한다. 글을 읽어보면 일반 과세자는 10%의 높은 세율이 적용되지만 부가가치세 신고를 통해서 세액을 전액 공제받을 수 있다고 한다. 반면 간이과세자는 세율이 1.5%~4% 수준이지만 매입액의 0.5%만 공제가 가능하다. 흔히 1년에 매출 8,000만원 이상이었다면.. 2023. 1. 9. 쇼핑몰 1인 사장, 동대문 사입, 운영 시간과 특징 요즘 1인이 운영하는 쇼핑몰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옷 구매를 하려면 보통 오프라인 매장도 많지만 요즘엔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예쁘고, 가격이 좋은 옷들이 많다. 하지만 모든 옷들이 사진으로만 보고 사기에는 사이즈나 색상 면에서 실망을 할 수 있고, 교환이나 환불 절차 또한 번거롭기 때문에 망설여지기도 한다. 그래서 많은 쇼핑몰 사장들은 실제로 도매 시장에 가서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소재를 확인한 후 제품을 사입해오곤 한다. 오늘은 의류 사업하는 분들이나 쇼핑몰 창업을 앞두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동대문 사입'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해 보겠다. 동대문은 낮 시장과 밤 시장으로 나뉜다. 낮 시장은 오전 00:00~오후 12:00까지 운영을 하며, 밤 시장은 오후 8:00~오전 5:00까지 운영을 한다... 2022. 12. 14. 매출 확대를 위한 라이브커머스, 네이버 vs 그립(Grip) 교보증권 리서치 센터의 자료에 따르면 국내 라이브 방송 시장 규모가 2021년 2조 8,000억 원에서 2022년 6조 2,000억 원으로 예상, 내년에는 10조 원까지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 기준에 1위는 단연코 네이버가 1등을 장악하고 있다. 카카오 또한 모바일 라이브 방송을 확대하기 위해 '그립(grip)'까지 인수했다. 라이브 방송 시대는 점점 더 치열해지고, 매출을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요즘 휴대폰만 있으면 어디서든 자신의 물건을 팔고,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필자도 퇴사를 한 후 네이버 쇼핑라이브에서는 쇼호스트인 프리랜서로 활동했고, 그립에서는 1인 사장으로 라이브 커머스 쇼핑몰을 운영했다. 기존에 스마트 스토어를 운영하던 사람들은 네이버 쇼핑 라이브를 시작하.. 2022. 12. 12. 퇴사 후 프리랜서 첫 활동기 요즘 1인 미디어 시대, 개인이 브랜드가 되는 시대이다. 휴대폰을 들고 방송을 할 수 있는 시대, 아무것도 아닌 개인의 말을 듣고 물건을 구매하고, 팬이 되는 시대가 요즘인 것 같다. 이 시대에 회사를 퇴사하면서 가장 먼저 프리랜서로 활동했던 건, 모바일 쇼호스트였다. 이전 포스팅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내가 가진 장점과 그래서 지금 당장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을 참 많이 했다. 퇴사를 결심하고, 요즘 시대에 맞춰 프리랜서로 살기로 했다. 많은 직장인들이라면 사직서 한 장쯤은 늘 마음 한편에 담아두고 살아간다는 말이 있다. 나 역시도 그랬다.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아는 탑 기업의 제약회사를 다녔다. 연봉도 좋았고, 수 rimidaa.com 사실 나는 대학교를 다니면서 나의 꿈은 "쇼호스트".. 2022. 12. 10. 퇴사를 결심하고, 요즘 시대에 맞춰 프리랜서로 살기로 했다. 많은 직장인들이라면 사직서 한 장쯤은 늘 마음 한편에 담아두고 살아간다는 말이 있다. 나 역시도 그랬다.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아는 탑 기업의 제약회사를 다녔다. 연봉도 좋았고, 수당도 좋았고, 무엇보다 뛰어난 복지를 가졌다. 여름휴가 10일, 겨울 휴가 10일, 추석 휴가 10일, 설날 휴가 10일, 모든 끼어있는 일명 샌드위치 휴가는 무조건 쉬는 날을 주었다. 나의 업무는 브랜드 매니저, 브랜드 마케터 'BM'이라는 직군이었다. 제품을 소싱하거나 개발하고, 상품화시키기 위해 마케팅 전략과 판매 전략을 만들어 상품이 출시되면 잘 판매되도록 운영을 하는 업무였다. 회사 내의 1인 사장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회사에서 맡았던 내 상품 중에는 성공한 상품이 있다. 이 직무는 내가 프리랜서를 결심하게.. 2022. 12. 9. 이전 1 다음 반응형